홈 연구팀소개 연구∙산업 동향 연구단소식 주요연구성과

연구 산업동향

미래감염병에 대한 세계 동향 분석

신종감염병은 최근 20년 동안 발생이 증가했거나 가까운 미래에 발생이 증가하여 위협이 될 수 있는 감염병으로, 1) 새로운 병원체의 확인, 2) 사람에게 이미 존재했지만 발견되지 않은 감염병의 인지, 3) 역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화의 세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 보고서는 1980년대 후반 전세계가 HIV/AIDS 유행을 경험한 후 신종 바이러스가 글로벌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제적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는 상황을 배경으로 작성되었으며, 미국 질병통제관리센터(CDC)의 신종감염병 대응전략 수립,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 감염병 대응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보건규칙(IHR)의 개정, 유럽연합(EU) 질병통제관리센터(ECDC)의 설립 등 글로벌 신종감염병 대응체계 구축의 계기가 되었다.

이후 전 세계 감염병 대응을 선도하는 주요 국가 및 국제기구는 신종감염병을 포함하여 미래에 공중보건 상 위협이 되거나 사회적 질병부담이 큰 감염병, 즉 사회적 영향력이 큰 감염병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포괄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이후 전 세계 주요 기관이 예의주시하는 미래감염병의 종류 및 대응전략을 소개함으로써 미래감염병에 대한 세계동향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버튼화살표

2017-2018절기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 예방대응 결과

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AI) 인체감염증은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의 인체감염에 의한 급성호흡기 감염병으로 일반적으로 사람을 감염시키지 않으나, 최근 종간 벽(Interspecies barrier)을 넘어 간헐적으로 인체감염을 유발한다. 조류에서 인체감염으로 보고된 아형으로는 H5N1, H5N6, H7N2, H7N9 등이 있고, 사람간의 전파가 보고된 아형으로는 H5N1, H7N9 등이 있다. 조류인플루엔자는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4군감염병으로 분류되며, 대부분의 인체감염사례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가금류(닭, 오리, 칠면조 등)와의 접촉 또는 감염된 조류의 배설‧분비물에 오염된 사물과의 접촉을 통해 발생한다. 매우 드물게 사람 간의 전파가 의심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향후 바이러스의 변이 등을 통해 사람 간의 전파가 용이해질 가능성도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결막염부터 발열‧기침‧인후통‧근육통 등 전형적인 인플루엔자 유사증상(Influenza-like illness)이 가능하며, 폐렴‧급성호흡기부전 등 중증 호흡기 질환도 발생 가능하다. 간혹 구역‧구토‧설사의 소화기 증상과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키기도 하며, 2~7일(최대 10일)의 잠복기를 가진다. 더보기버튼화살표

2019년 신개발 의료기기 전망 분석 보고서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의료기기 개발자나 제조·수입업체 등의 연구개발 지원을 위하여, 의료기기 유망 분야(차세대 체외진단기기 등)의 최신 개발 현황 및 전망을 담은 '2019년 신개발 의료기기 전망 분석 보고서'를 발간하여 배포하였다. 더보기버튼화살표

감염병 예방 및 대응체계에 관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기본계획’에 포함된 중점과제와 세부과제가 추구하는 방향은 앞서 메르스 사태를 통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체계 개편 필요성과 크게 다르지 않다. 감염병 대응․대비 체계 강화, 원헬스(one health) 협력체계 구축, 감염병 예방관리 대책 강화, 감염병 대응기술 혁신플랫폼 구축, 감염병 대응․대비 인프라 강화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이 필요하겠지만,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감염의심자의 인권 보장, 자가격리 위반에 대한 처벌의 실효성, 손실보상의 적정성 등 그 밖의 법적인 문제점들을 정리하고 개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의 국내 대규모 감염병에 관한 사례들을 쟁점별로 분석하고, 이 쟁점들과 관련된 개선방안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더보기버튼화살표

대학·공공연 특허, 규제 확 풀어 대형 기술이전 촉진한다

정부는 1월 8일 15시 대한상공회의소(서울 중구) 「제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여, 혁신성장 대책의 일환으로 ‘대학·공공연 특허활용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혁신방안은 대학, 공공연구기관의 R&D 성과물인 특허가 원활하게 민간기업에 이전되어 사업화 될 수 있도록, ① 시장 수익창출의 관점에서 고품질 특허 창출, ②질높은 특허 창출을 위한 특허비용 지원 및 발명자 권리 보장, ③ 특허기술 이전·사업화 법·제도 개선을 골자로 하고 있다.  더보기버튼화살표

2019년도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지원사업 통합 설명회 개최

2019년도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지원사업 통합 설명회를 2월 12일(한국연구재단 서울청사), 2월14일(한국연구재단 대전청사)에 개최하였다. 더보기버튼화살표
뉴스레터 신청 뉴스레터 수신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