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연구팀소개 연구∙산업 동향 연구단소식 주요연구성과

연구 산업동향

체외진단의료기기 맞춤형 안전관리체계 구축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이의경)는 4월5일 「체외진단의료기기법」, 「의료기기산업육성및혁신의료기기지원법」 2개 제정 법률안과 「식품위생법」, 「수입식품안전관리특별법」등 5개 개정 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습니다.

「체외진단의료기기법」제정으로 체외진단 의료기기 제품의 안전성 확보와 품질향상을 통한 정확한 질병진단 등이 가능하도록 법적·제도적 기반이 구축되었으며, 체외진단 의료기기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기술지원 및 국내외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더보기버튼화살표

2013∼2017년 국내 표본감시기관 의료 관련 감염병(항생제내성균 6종)
발생 현황

국내 의료관련감염병 감시는 2010년 12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시행에 따라,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감염증,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VRE) 감염증,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감염증, 다제내성 녹농균(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RPA) 감염증,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RAB) 감염증,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감염증의 항생제내성균 6종을 지정하였다. 2011년 1월부터 44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표본감시체계를 구축한 이후 표본감시기관이 꾸준히 증가하여 2017년에는 전국 총 189개 의료기관이 의료관련감염병 표본감시체계 운영에 참여하였다. 더보기버튼화살표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개요 및 연구개발 현황

국내에서 아직까지 발생한 적이 없는 아프리카 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은 감염성이 매우 높고, 급성형에 감염되면 치사율이 100%에 달해 양돈산업에 엄청난 피해를 주는 질병. 주로 아프리카와 유럽에서 발생해 왔으나, 최근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 아시아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국내유입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더보기버튼화살표

2019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 부처는 ‘제3차 1단계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바이오경제혁신전략 2025)’의 체계적 추진과 및 산업화 촉진을 위해 각 관계부처의 이행실적 및 2017년도 세부 추진계획을 종합, 조사·분석한 ‘2019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을 수립(2019. 2.)하였습니다.   더보기버튼화살표

특허청, 의료기기 유형별 특허출원 동향 발표

특허청은 정부혁신의 일환으로 산업계의 연구개발 전략 수립과 기술발전을 지원하고자 지난 10년간(‘09~’18년) 의료기기 
유형별 특허출원 동향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의료기기 분야의 특허 출원은 총 76,949건으로 연평균 6.82% 증가했다.  전체 특허 출원이 연평균
1.3%증가하는데 비해 의료기기 분야는 5배 이상 상회한 정도로 다른 산업 분야에 비해 성장세가 가파르다. 더보기버튼화살표
뉴스레터 신청 뉴스레터 수신거부